세콜라 파그상안 Sekolah¹ Pagesangan: 나의 학습기
디아 위두테르노 Diah Widuretno(세콜라 파게상간 설립자, 매개자)
숫자 세는 법을 모르는 어린 소녀
지금으로부터 25년 전인 1997년, 커뮤니티 교육과 처음으로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 당시 나는 서부 자바의 보고르에 있는 보고르 농업 대학(IPB)에서 학부 과정을 밟으면서 도시에 사는 빈곤층 어린이를 위한 공부 모임을 조직했다. 모든 것은 사소한 만남에서 시작되었다. 여덟 살 쯤 먹은 이마스라는 소녀가 있었는데, 늦은 오후가 되면 집집마다 간식을 팔기 위해 캄퐁² 안팎을 돌아다니곤 했다. 나는 이마스의 단골 중 하나였다. 그녀는 내가 간식값을 얼마나 치러야 하는지, 잔돈은 얼마나 줘야 하는지 계산할 때마다 어려움을 겪었다. 계산을 할 때마다 괴로워 하는 게 분명했다. 나는 이마스에게 계산하는 법을 알려주겠다고 했고, 그녀가 제안을 받아 들였다. 잠시 후 그녀는 친구들을 스터디 그룹에 초대하기 시작했고, 수를 세는 법을 배우려는 아이들이 20–30명 가량 모였다. 함께 학부 수업을 듣고 있던 친구들 몇몇에게 선생님으로 함께 해달라고 부탁했다. 이 스터디 그룹은 1999년까지 정기적으로 운영되었고, 내가 졸업 과제로 바빠지면서 중단되었다. 그럼에도, 이마스를 만나 스터디 그룹을 한 일은 공동체 교육과 학습이라는 길을 걷는데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인간주의 교육,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2000년에 파울로 프레이리𝙿𝚊𝚞𝚕𝚘 𝙵𝚛𝚎𝚒𝚛𝚎와 이반 일리치𝙸𝚟𝚊𝚗 𝙸𝚕𝚕𝚒𝚌𝚑의 저서들을 읽으며 비판적 교육에 대해 더 알아가기 시작했다. 이러한 책들이 내 열정을 불태웠고, 인간화𝚑𝚞𝚖𝚊𝚗𝚒𝚣𝚒𝚗𝚐 교육 실천을 더 많이 추구하고 이해하게 해주었다. 나는 내가 직접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답을 얻고 싶다. 2001년에는 자바 서부의 할리문 산 지역에 자리한 보고르시의 늉쿵 마을에 있는 개방 중학교𝙹𝚞𝚗𝚒𝚘𝚛 𝙷𝚒𝚐𝚑 𝚃𝚎𝚛𝚋𝚞𝚔𝚊(즉 13–16세 학생을 위한 중등학교인 SMP)에 자원 교사로 합류하기로 했다. 늉쿵 마을은 인도네시아 오지에 자리한 마을로, 숲에서 머지 않은 곳에 있어 교육, 보건소, 교통과 같은 공공시설에 제한이 있었다. 늉쿵 마을에 사는 아이들은 거의 대부분 초등학교 수준(인도네시아 교육 체계에서 6–12세를 위한 학교인 세콜라 다사르𝚂𝚎𝚔𝚘𝚕𝚊𝚑 𝙳𝚊𝚜𝚊𝚛)을 넘어가는 교육을 더 받지 못했다. 이후 곧장 농부나 금광에서 일하는 불법 채굴자로 일했고, 그렇지 않으면 인근 도시에서 비공식 노동력에 합류했다. 나는 십대에 접어든 몇몇 SMP 학생들과 함께 그들이 배우는 것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아이들이 자라나는 사회적 역동성뿐 아니라 그들이 자신와 환경 및 주변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이해해보고자 했다. 인간화 교육에 대해 여전히 제한적으로 이해하고 있었지만, 프레이리의 관념을 실천하기로 결심했다.
이 과정에서 인도네시아의 교육 문제를 이해하기 시작했다. 인도네시아는 다양한 장소와 사회 집단에 걸쳐 교육의 질과 접근성이 고르지 않았고, 뿐만 아니라 교육의 과정 역시 불충분한 탓에 학생들이 비판적으로 사고하거나 생활에서의 문제를 다룰 능력을 안겨줄 수 없었다. 이러한 깨달음을 얻은 것은 소중한 깨달음의 순간이었고, 늉쿵 마을의 공동체에 이를 빚지고 있다.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알기 시작한 덕분에 영감을 받았지만, 이와 동시에 내가 무엇을 해야 할 지 더 많이 고민해야 했기에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많은 생각 끝에, 내가 어디에서 살게 되든 특히 소위 계층을 위한 인간화 교육 모델을 (학교를) 실천하고 구축하기 위해 삶을 바치겠다고 다짐했다. 2003년, 나는 족자카르타로 이주하며 무거운 마음을 안고 눙큥 마을 공동체에 작별을 고했다.
1. School. ‘학교’를 뜻하는 인도네시아 단어.
2. Village or hamlet. 마을 혹은 촌락.
세콜라 숨부 판구리판(SSP, Sekolah Sumbu Panguripan)을 시작하다
2003–2007년, 나의 아이를 돌보는 동시에 프리랜스 매개자로 일했고, 족자카르타 구눙키둘시에서 교육과 관련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누둥키둘 지역을 알아가게 되었고, 앞서 나 자신과 맺었던 약속, 즉 실천에 대한 욕구가 나를 괴롭혔다. 머릿속으로 교육 개념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작성하고 정리하기 시작했다. 2008년 11월, 친구 중 하나가 구눙키둘에 있는 윈타오스 마을을 소개하며 내가 이미 고민하고 글로 써둔 교육 모델을 구현해보라고 격려했다. 윈타오스 마을을 몇 차례 방문한 뒤, 나는 교육 모델을 실현하기로 마음 먹었다. 처음에는 나 혼자만이 아니라 여섯 명의 친구와 함께 자발적으로 일했고, 기꺼이 협력했다. 우리는 세콜라 숨부 파게상간(SSP, Sekolah Sumbu Pagesangan)이라는 공동체의 일부로 교육 모델을 시작했다. 위나토스 마을에서는 초등학교 단계의 어린이들을 모아 조직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교재는 정규 학교의 교육과정에 맞추려 했다. 매개자들은 정규 학교와 비슷한 경제, 역사, 수학 등을 가르쳤지만 정규 교육과정과 다른 교습법을 구사했다. 예를 들어, 역사 과목에서는 인도네시아 역사 전반을 다루기 보다 공동체와 마을의 역사에 집중하려 했다. 경제 과목에서는 식량이 어떻게 생산, 소비, 유통되는지 배웠다. 또한 기업가 정신도 가르쳤는데, 모든 사람이 직접 실천한 덕분에 곧장 다들 좋아하는 과목이 되었다. SSP의 활동은 비정규 교육을 위주로 이뤄졌다. 2008년 무렵, 윈타오스 마을에서는 학교를 중퇴하는 아이들의 비율이 높았다. 아이들 대부분은 초등학교 교육을 마치고 나서 중학교를 마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중학교를 졸업한 뒤에는 인근 도시로 가서 비공식 부문에 합류하거나 결혼하는 것 외에는 딱히 선택지가 없었다. 너무 어린 나이에 취업하고 결혼하는 일을 막기 위해, 일부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줄 수 있는 기금을 마련하고자 애썼다. 이 기금은 자원 봉사를 하는 우리 자신 그리고 우리의 계획에 공감하는 기부자들이 마련했다.
SSP에서의 자발적 관리 및 학습 활동
SSP는 자발적으로 관리가 이뤄졌다. 우리는 자원 봉사를 하는 입장에서 SSP를 위해 수행한 일에 대해 비용을 받지 않았고,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임금을 받는 다른 일을 한다. 생계를 위한 직업이 따로 있는 것이 보통이다. SSP의 경우, 각자 주당 최소 근무 시간을 맞추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이런 식으로 운영을 하면서 재단이나 NGO 등으로 제도화하지 않는 것이 최선이라고 본다. 나는 SSP가 공동체의 자체적인 자원을 활용해 육성되는 독립적인 조직, 심지어 일종의 사회 운동이라고 상상했다. 하지만 봉사 활동으로 일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3년차에 접어들면서 자원 봉사 활동 인원 전원이 활동을 멈추게 되었다. 나는 그들의 결정을 충분히 이해했고, 스스로 과업을 이어가기로 마음을 정했다. SSP는 아이들의 기술과 사고력 강화에 중점을 두고 학습 활동을 지속했다. 참여, 민주, 서로에 대한 존중, 감사 및 연대와 같은 가치를 지침으로 삼았다. 우리는 무엇이든 배울 수 있고,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쓰는 방식으로 학습을 꾸렸다. 나는 아이들이 이상적인 시설과 도구에 기대어 학습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격려했다. 오히려 주변의 모든 자원을 학습 자료로 활용했다. 우리는 배움에 가장 좋은 장소는 자연이라고 생각했다. 모든 학습 활동은 모든 아이들과 내가 무엇이든 논의할 수 있는 참여적 방식으로 이뤄진다. 종종 재미난 게임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학습을 준비하기도 했다. 아이들이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공부를 하러 오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도록, 즐거운 학습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했다.
학습관을 벗어나다
SSP는 설립 당시 취지에 공감한 후원자로부터 사유지에 세워진 학습관(pendopo)을 하나 얻었다. 그런데 후원자가 사망한 뒤 2012년에 이 땅을 놓고 후손들 간에 갈등이 일어났고, 우리는 이사를 하기로 결정했다. 여러 차례 토론을 한 뒤, 아이들과 학부모들이 SSP 활동을 위해 자신들의 집을 교대로 쓰는 데 동의했다. 그때부터 우리는 이 집 저 집을 오가며 학습 활동을 조직했다. 상당히 많이 이동했지만, 학습 과정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운영 위원을 조직해 번거로움을 최소화했다. 운영 위원들은 학습 조직원 가운데 십대 아이들로 이뤄졌고, 학습 프로그램 구성에 더 큰 책임을 진다. 필요한 경우에는 학습 자료와 도구를 준비하고, 프로그램 진행 중에는 동료인 친구들을 돕는다. 나는 아이들의 성격과 인격에 기반한 개인화된 접근을 통해 멘토링을 하며 많은 시간을 보냈다. 이에 대한 보상으로, 아이들의 정규 등록금을 조금이나마 돕고자 소액을 기부했다. 운영 위원인 아이들 모두 정규 학교에서 수업을 듣고 있었기에, SSP의 모든 활동은 항상 방과후나 주말에 이뤄졌다.
학부모들의 집을 활용하는 이점
학부모들의 집에서 학습하는 것을 통해 위나토스 마을의 가족과 가정에서 이뤄지는 일상의 리듬과 활동을 이해하게 되었다. 또한 각 가족과 더 가깝고 긴밀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었다. 그들을 자주 방문하고 함께 활동을 조직하다 보니, 마치 친척처럼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마을에서 행사나 활동이 너무 늦게 끝나면 내가 좋아할 만한 장소를 번갈아 가며 제공했다. 나는 그들과 함께 요리하고 식사를 나누었다. 이를 통해 그들이 매일 어떤 음식을 먹는지, 밭에서 어떻게 작물을 기르는지, 수확한 작물을 계절마다 관리하고 비축하는 전통은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관계가 너무 가까운 탓에 나에게 가족 내부의 문제를 공유하기도 했다. 이처럼 나는 윈타오스 마을의 여러 가족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우리는 서로를 가족처럼 여겼다.
SSP의 마지막 장
모든 자원 봉사 참여자가 2011년에 기여를 중단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SSP에 대해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며 SSP 활동을 지시하고 싶었던 사람이 있었다. 2013년 12월, 사회 운동으로서의 SSP에 대해 이 사람과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다. 나도 SSP 자원 봉사자 역할을 그만두기로 했다. SSP를 운영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은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나였기에, 나의 사임은 곧 SSP 활동의 종료를 의미했다. 내가 몇 주 동안 윈타오스 마을에 나타나지 않자, 아이들은 학습 활동을 그리워하기 시작했고 나를 찾았다. 아이들과 학부모들을 만나러 마을에 갔다. 그리고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설명했다. 매우 감동적인 순간이었다. 세 시간 가량 이야기를 나누었고, 분위기가 슬펐고 함께 울었다. 아이들과 학부모들 모두 윈타오스 마을을 떠나기로 한 내 결정을 거부했다. 이렇게 말하는 사람도 있었다. “음박³ 디아𝙼𝚋𝚊𝚔 𝙳𝚒𝚊𝚑가 우리와 함께 하는 한 SSP가 끝나도 아무런 문제가 없어요.”
그들의 반응을 생각하며, 궁금증이 일었다. 오랜 세월 쌓은 진정한 관계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SSP가 지금까지 한 일에서 이익을 거둔 덕분에 가치를 둔 덕분이었을까? 그럼에도, 아이들은 학습을 계속하겠다는 결의를 보이며 내게 남아달라고 요청했다. 나 스스로는 그들과 함께 하는 일을 사랑했고 이미 SSP를 통해 많은 것을 배웠기에 기꺼이 머물렀다. 하지만 이번에는 SSP를 포기해야만 했다. 아이들과 학부모들은 여기에 동의했고, 새로운 명칭을 제안했다. 우리는 운영위와 함께 명칭 변경을 비롯한 개정 방안을 논의했다. 마을의 연장자였던 학부모 한 명이 새로운 학습 공동체에 세콜라 파게상간(SP, Sekolah Pagesangan)이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
3) Mbak. ‘언니’를 뜻하는 단어로, 자바에서는 이를 존칭으로 사용한다.
과거로부터 배우고자 하는 사유와 의지
새로운 학습 공동체를 개정하는 동안, SSP에서의 과정과 경험을 돌아보기 위해 나 스스로의 활동 리듬을 조정했다. 내가 집중적으로 멘토링하고 정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지원한 운영 위원 대부분이 고등학교 졸업 후 마을을 떠난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불편했다. 아이들은 솔로, 족자카르타, 마겔랑으로 이주하여 공장에서 일하거나 비공식 부문에서 일자리를 얻었다. 그것은 모두 그들의 권리이자 결정이며, 나는 이를 전적으로 존중한다. 그럼에도, 그때까지 내가 취했던 접근 방식에 의문점이 남았다.
SP는 공장 노동자가 될 아이들을 위한 배움의 공간이 될 것인가?
아이들의 미래에 있어 도시 노동자가 되는 것 외에 더 나은 선택이 있을까?
SP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우리가 SP를 위해 의도하는 학습의 종류는 무엇일까?
SP가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학습 공간이 되고, 그들이 삶의 현실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힘을 싣고 격려해줄 수 있을까?
이 모든 질문이 내 마음 속에 끊임없이 떠올랐다. 나는 앞서 5년간 SSP에서 진행한 활동과 프로그램이 그다지 많은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다. SSP에서 활동했던 젊은이들이 위험한 노동 환경에도 불구하고 도시에서 일하겠다고 마음을 먹는 것을 보고, 뭔가 잘못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러한 성찰의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질문이 떠올랐다. 아이들의 개인적 잠재력뿐 아니라 윈타오스 마을 그 자체와 그곳의 천연 자원을 탐구하고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학습 공간을 구축할 수 있을까? 나는 윈타오스가 미래에 아이들을 위해 많은 것을 줄 것이라고 생각했고, 따라서 아이들이 마을을 떠나지 않고 안전한 환경에서 좋은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 여겼다.
이러한 생각이 SSP를 운영하는 동안 나를 포함한 SSP 자원 봉사자들이 ‘실수’를 저질렀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 SSP는 윈타오스 마을 사람이 아닌, 그럼에도 윈타오스 마을에 가장 좋은 것이 무엇인지 안다고 여겼던 자원 봉사자들의 관점과 가정을 기반으로 설립되었기에 실수였다. 자원 봉사자들은 각 수업에 쓸 자료를 비롯해 활동의 형태, 커리큘럼, 목표를 결정했고, 그것이 참여자들에게 가장 좋은 것이라 여겼다. 결과적으로 볼 때, 우리가 가장 좋은 접근법이며 잘 계획된 접근이라고 여겼던 방식만으로는 아이들의 미래를 준비하기에 충분치 않았다. 아이들에게는 여전히 도시에서 노동자로 일하는 것 외에 선택지가 없었다. SSP에서의 학습 과정은 번성하고 성공적인 삶은 도시에서만 가능하다는 상상에 도전하기에 충분치 않았다.
씁쓸한 반성이었지만, 지난 5년간 SSP를 통해 이룬 것에 대한 후회는 없었다. 이와 반대로, SSP에서 이뤄진 과정은 깊이 생각하고 잘 계획한 활동이 언제나 지역 공동체의 필요와 일치하지 않는다른 것을 깨닫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나는 이러한 ‘실수’에서 배운 모든 교훈을 취하기로 결심했다. 이제는 교육이 실생활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참여자들의 필요에 대답해야 한다는 점을 더 잘 안다. 학습의 과정이 현실과 분리되면 학습 참여자가 실제 생활의 문제에 잘 대처할 수 없다. 마치 땅에 뿌리를 내리지 않고 허공에 흐릿하게 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적 기획
앞으로 SP가 나아갈 여정을 준비하는데 있어 앞서 진행한 반성이 중요했다. 나는 남아 있는 SP의 회원들에게 나의 고민을 전달하고자 했다. 당시 (2014년 4월 무렵) SP의 회원은 약 17명이었고, 그중 운영위가 7명이었다.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해 사적인 차원의 편한 대화와 집단 토론에서 모두 논의를 진행했다. 나는 그들에게 앞으로의 계획이 무엇인지도 물었다. 또한 SP로부터 어떤 형태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지도 물었다. 이러한 질문은 개인과 공동체의 미래를 위한 계획을 세우는 것으로 발전했다. 이후, 각 구성원이 자신의 계획을 파악하고 학습 매체로서의 SP로부터 무엇이 필요한지 밝혔다. 처음에는 구성원마다 다양한 바람이 있었기에 대화가 어지럽게 이뤄졌다. 마지막으로, 기존 자원과 지원 역량에 따라 보다 현실적인 진행을 할 수 있도록 초대했다. 대화는 여러 단계로 진행되었고, 가능한 자주 할 수 있는만큼 이어졌다. 어느 시점에서는 그들이 자신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토론하는 한편 마을에서 가장 자주 접하는 것이 무엇인지 논의하도록 초대하기 시작했다. 여러 차례의 대화 끝에, 우리는 농업 활동, 계절마다 이뤄지는 수확이 윈타오스 마을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을 알아내고 동의했다. 그들 중 일부는 종종 밭에서 일하거나 집에서 작물을 가공하는 일에 관여했다. 고민 끝에, 농업과 기업가 정신을 포함하는 테타넨⁴과 식문화를 세콜라 파상간의 주요 학습 주제로 만들기로 했다. 농업과 농부의 기업가 정신을 주제로, 2014년 7월부터 시행한 단기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마른 땅에서 농사를 짓는 법, 티울,⁵ 템페 코로⁶ 판매 등을 진행했다. 어린이들에게는 프로그램에 필요한 시설 및 기반과 이를 어떻게 수행할 수 있을지 확인해보라고 요청했다. 예를 들어, ‘농사 학습’ 프로그램의 경우 토지에 대한 필요성, 괭이, 가툴, 낫, 밭에 심을 씨앗, 거름 등에 대한 필요성을 분별했다. 아이들은 각자의 집에서 기꺼이 도구를 가져왔다. 문제는 이를 활용할 땅이 없다는 것이었다. 아이들은 이 학습 프로그램을 논의하고자 학부모 회의를 제안했다.
4. Tetanen. 농업 활동을 의미.
5. Thiwul. 카사바를 잘게 분쇄한 것.
SP 학습 프로그램에 학부모의 관여를 끌어내다
당시 나는 아이들의 학습 활동 전개를 논의하기 위해 학부모를 만나는 일이 익숙했다. 토지 활용에 대한 학부모 회의에서 마르시니, 하리얀티, 울란 가족이 학습을 위해 땅을 제공하는데 동의했다. 부지가 그리 넓지 않았지만, 아이들의 학습 활동에 쓸만 했다. 학부모 간담회는 아이들에 대한 부모의 바람과 기대를 파악하는 수단으로 중요하다. 내가 아는 한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녀가 학교에 너무 오래 머무르지 않기를 바란다. 그들은 아이들이 가족을 위해 돈을 벌 수 있게 최대한 빨리 일을 시작하기를 바란다. 나는 학부모들을 초대하여 그들과 대화를 나누었다. 아이들이 SP를 통해 스스로 사업을 시작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지식과 기술을 획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아이들이 일을 시작해야 한다는 기대를 받기 전에 기술을 충분히 익히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납득시키려 애썼다. 내 말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학부모도 있었지만, SP 활동을 거부하고 지지하지 않는 이들도 있었다. 하지만 나와 아이들은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SP의 활동은 배우고자 하는 아이들이 존재하고 도와주는 부모가 있는 한 계속될 것이었다. 이에 대해 학부모 대부분이 지지를 표명했다. 예를 들어, 무르니의 부모는 템페 코로 만드는 법을 배우는 어린이 활동에 기꺼이 강사로 나서고자 했다. 아이들에게 티울⁷ 만드는 법을 알려주고자 했던 어머니도 일곱 명 가량 있었다.
한편, 남성 후견인이나 아버지들은 농사를 짓는 모임에 관여하기 시작했다. 이웃 지역인 슬레만에 거주하는 농부이자 농업 활동가인 쿤코로 씨는 윈타오스의 여러 남성과 농부들이 참여한 시나우 타니⁸ 행사를 조직하고 활성화하는데 많은 도움을 제공했다. 윈타오스 마을에서는 시나우 타니 활동의 여러 세션이 진행되었다. 남성들의 집단은 셀라파난⁹이 열릴 때마다 정기적으로 모여 농업과 관련된 온갖 주제를 논의했다. 시나우 타니와 남성들의 모임은 코로나19 이후 중단되었다.
6. 숙곡류(菽穀類)의 일종.
7. 카사바로 만든 티울은 구눙키둘의 주식 가운데 하나다.
8. 농업과 농사 관련 주제를 다루는 스터디 그룹이다.
9. 40일 간격으로 개최된다.
함께 사업을 시작하다
SP의 활동은 계속 진행되었다. 아이들은 포장한 티울, 즉석 티울, 템페 코로 사업을 시작하여 족자카르타와 반툴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학부모들은 애초에 강사를 맡거나 사람을 구하고 교육 시설과 기반을 제공하는 등 자신의 자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지원에 관여했다. 하지만 점차 아이들이 시작한 소규모 사업에 참여하는 데도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우리는 업무를 나누기로 했다. 아이들은 제품 마케팅 부서의 일을 했고, 어머니들은 포장한 티울, 즉석 티울, 템페 코로를 만들었다. 우리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사업을 시작했고, 페이스북을 비롯해 우리가 쓸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활용했다.
씁쓸하면서 달콤한 간부 활동
2015년은 SP에게 암울한 한 해였다. 몇 년 동안 나와 함께하며 다른 친구들을 이끄는 역할을 맡았던 간부 두 명이 SP를 그만두고 마을을 떠나 도시에서 노동자가 되기로 했다. 2009년부터 함께 해온 사람들이 SP를 그만둔 일은 나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들이 SP를 떠난 것은 SP의 어린이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만둔 친구들은 SP에서 아이들의 활동 조직을 담당했기 때문이었다. 마음이 아팠지만,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을 투쟁의 일부로 받아들이고자 애썼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나를 설레게 만드는 일도 있었다. 어머니들의 활동이 활발해졌고, 어머니 그룹에 속한 회원이 늘었다. 즉석 티울을 만드는 음박 무지가 합류했다. 모카프¹⁰를 만드는 엄마들도 합류했다. 글라펙¹¹ 밀가루와 템페 코로는 여전히 만들어지고 있다.
10. Mocaf. 강화된 카사바 밀가루.
11. Glapek. 말려서 잘게 찢은 카사바.
세콜라 파상간 여성 그룹
여성들은 함께 관리하는 소규모 기업을 위한 그룹으로 구성된다. 우리는 참여적 방식의 구조를 띤 시스템을 개발한다. 나는 개방성, 정직함, 참여, 유사성과 같은 가치를 사업 운영 지침으로 제시한다. 이와 같은 공통의 노력에 있어, 우리는 의도적으로 최고 결정권자가 존재하는 수직적인 기업 구조를 만들지 않았다. 조직 구조는 생산을 맡은 각 사업이 그룹단위로 관리되고 마케팅 부서와 협력하는 수평적 구조로 설정된다. (2022년) 현재 가공 작업을 맡은 그룹에 약 10개의 사업 단위가 속해 있고, 즉석 티울 사업, 바나나 살레 (달콤한 건조 바나나), 코로 혹은 벵국 템페, 모카프 밀가루, 카사바 칩, 바나나 칩, 카사바 크래커, 렘펭¹² 티울을 비롯해 현미, 녹두, 땅콩, 구드헤 콩과 같은 수확물을 판매한다. 케다이 세핫 파게상간(KSP, Kedai Sehat Pagesangan)에서는 총 26가지 제품(가공품 및 농산물)을 판매 중이다. 시간은 계속해서 흐른다. 우리는 매일 SP에서 활동을 지속하고, 절대 멈추지 않는다. 내년이면 SP가 시작된 지도 15년째다. 2009년부터 멘토링한 아이들은 이제 다 큰 성인 여성이 되었다. 무르니는 심지어 올해 결혼을 했다. 리피아는 족자카르타에 있는 대학에 진학하여 현재 대학교 3학년이 되었다. 리피아와 같은 대학교 신입생인 헤니도 마찬가지다. 두 사람 모두 대학에서 장학금을 받았다. 그들은 지금도 SP의 교육 과정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KSP를 돌보는 데도 시간을 할애한다. 여성 그룹은 당초에 SP 학생들의 학부모로 이뤄졌으나, 지금은 회원도 늘어났다. 회원들은 수확물을 활용해 식품과 가공품을 만들 뿐 아니라 외부 공동체를 위한 SP의 학습 프로그램인 우립 잉 엔데소(Urip ing dDeso) 프로그램의 호스트 역할을 맡기도 한다. SP 운동은 이렇게 계속된다. 또한 윈타오스 현지의 식품 시스템을 강화하는 방안을 배우겠다는 결심이 확고해지고 있다.
12. Lempeng. 케루푹 혹은 칩.
어린이 및 청소년 그룹
어린이와 청소년 그룹은 기본적으로 비슷하지만 연령에 따라 자신의 능력에 맞는 활동을 진행한다. 어린이와 청소년 그룹은 스스로와 환경을 이해하고, 자신의 기원을 이해하여 마을에 속한 어린이로 자부심을 갖는 것, 스스로와 주변 환경의 가능성을 인지하고 마을 안에 머무르며 독립적이면서 자율성을 띠는 것을 비전과 학습 목표로 삼는다. 어린이와 청소년 그룹은 식물, 보육시설, 정원 가꾸고 관리하기, 요리, 식품 가공, 외부 활동, 문맹 퇴치, 전통 게임 알아가기 등의 활동을 펼친다. SP에서 간부로 활동해 어른이 된 이들은 이제 아이들의 그룹 활동을 증진하고 관리하는 일을 돕는다. 적어도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일상적인 어린이 활동이 진행되곤 한다.
어린이 간부 그룹은 SP 조직에 도움을 주기 위해 더 많이 배우고 멘토링을 받겠다는 의향을 보인 아이들을 선택한 모임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는 어린 간부들이 앞으로 공동체 매개자 역할을 맡거나 이어갈 수 있기를 바란다.
페게상간 학교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세콜라 파게상간은 마을 아이들이 더 주체성을 띠도록 학습 모델과 방식을 개발하기 위한 학습 공동체다. SP는 제도권 학교가 아니며, 비공식 교육의 일부도 아니다. 또한 정부의 프로그램 혹은 특정 기관의 프로젝트와도 관련이 없다. 이를 통해 수행되는 활동과 학습의 과정은 구성원들의 일상에서 이뤄지는 역동성의 일부가 된다. 학습의 과정은 지역 사회의 필요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수행된다. SP는 세 가지 그룹(여성, 어린이, 청소년/간부)으로 구성된다. 각 그룹은 학습 과정에서 무엇이 필요한지 결정한다. 학습의 과정과 활동은 그룹 단위로 진행된다. 이러한 그룹의 활동을 통해 상황에 맞는 교육이 내재화되고 수행되며, 그룹 구성원들은 자기 자신과 잠재력을 발견해 마을에서 스스로 어떻게 더 주체성을 가질 수 있을지 구성하는 과정을 겪는다.
하나의 공동체로서 SP가 자기 결정권을 갖는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만이 아니라 학습 과정의 일부이기도 하다. 다양한 기금 마련 노력을 비롯한 여러 형태의 자조는 자기 결정권을 향한 노력일뿐 아니라 독립성을 얻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개발이 이뤄진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모금 과정에는 KSP에서 관리하는 공동 사업을 전개하는 것 또한 포함된다. 제품 판매 수익의 약 10–20%가 SP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데 쓰인다. SP는 또한 콩을 사용하지 않는 템페 워크숍 클래스, 구눙키둘 요리, 음식과 농업 문제에 대한 문해력을 기르는 맥락에 맞춘 현장 프로그램 및 워크숍을 개발했다. 회원, 자원 봉사자, 지지자들로부터의 기부(시간, 사유, 에너지, 자금) 및 상호 지원은 SP 활동을 위한 중요한 자원이다.